안녕하세요. 제조 스타트업의 조력자 리얼라이저블입니다! 오늘은 모든 공장 대표님들의 숙제, 산업용 전기세 아끼는 방법을 소개 드립니다.
지난 5월 전기요금 인상 정책에 따라 산업계는 매달 1,900억여 원에 달하는 추가 요금을 내게 되었습니다. 올 연말까지 1조 4000억 원 넘는 추가 금액이 예상되는데요. 전기요금 폭탄
맞지 않으려면 산업용 전기세도 세심한 관리가 필수입니다.
중소기업중앙회의 조사에 따르면, 제조 중소기업 대부분이 "산업용 전기 요금이 부담스럽다(94.9%)"라고 응답했으며, 매우 부담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절반이 넘습니다.
하지만 산업용 전기 요금이 인상 되어도 "특별한 대책이 없음(69.9%)"이라고 응답한 것을 보면, 문제가 심각하지만 손쓰기 어려운 제조 현장의 현실을 알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 보도자료
계절별, 시간대별 계약 요금 확인
잘 알려져 있듯이 산업용 전기를 줄이려면 가동하지 않는 생산 설비나 사무기기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기존 설비를 전력 소모가 적은 고효율 설비로 교체하는 등의 조치는 필수적입니다. 이미 많은 공장 대표님이라면 해당 조치는 하고 계실 텐데요.
오늘은 그보다는 조금 더 실질적인 절감 방법을 소개해 드립니다.
중소기업중앙회 보도자료
계절별, 시간대별 전기요금표(출처: 한국전력)
우리 공장이 계약한 전기 종류(계약종별)에 따라
시간대별 계절별 전력구분에 따라 전기세가 최대 3배 이상 비싸집니다.
이에, 우리 공장의 전기요금 계약 사항에 따라 최대 부하-중간 부하 - 경부하 시간대, 계절을 파악해 두고 전력 사용량을 관리해야 합니다.
계절별 시간대별 전기 요금 구분
만일 우리 공장이 300kW 이상 전기 사용량이 발생해 산업용(을)을 선택, 전기 사용량이 월 200시간 ~ 500시간 사이에 해당해 선택Ⅱ요금을 계약 한 경우라면 아래 표에 산업용전력(을)의 전기세 분류표에 따라 여름철 최대부하 시간은 경부하 시간 대비 약 3배가량 비용 차이가 납니다.
이에, 최대 부하 시간인 오전 11시 ~ 12시, 오후 1시 ~6시를 가급적 피하거나 전력 소모량을 줄여야 합니다.
일반용, 산업용 을의 계약종별 전기 요금 분류표
매월 말 한국전력 고지서를 통해 전기 사용량과 요금 보고 놀라곤 하셨죠. 전기 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전기 사용량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물론 예상과 다른 청구 금액에 놀랄 일도 없겠죠!
우리 공장 전기 계약종별에 따른 시간대/계절별 전기 요금을 확인했다면, 실시간 전기 사용량 확인을 통해 최대부하 - 중간부하 시간에 얼마나 전기를 쓰고 있는지 확인하고 시간이 중요하지 않은 설비 가동은 경부하 시간대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 계약종별 전기요금 계산기
한국전력 웹사이트에서 전기 사용량을 알고 있다면, 전기요금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일이 전기 사용량을 입력하고, 요금 계산하기도 번거롭습니다. 공장장닷컴에서는 무료로 실시간 우리공장 전기세 확인이 가능합니다.
️ 아낀 만큼 돌려받는 수요관리(DR)
수요관리(DR)는 우리 공장에서 아낀 전기를 판매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국가제도입니다. 수요관리 사업에 참여해 받은 정산금을 요금에 충당할 수 있습니다.
국내 수요반응(DR) 자원 거래 시장 개요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정산금액은 kW 당 27,000원 ~ 45,000원 수준으로, 감축 방식에 따라 신뢰성DR과 자발적DR로 나뉩니다. 신뢰성 DR은 전력거래소의 감축 지시에 따라 사용량을 줄이고, 자발적DR은 감축 가능한 전력량을 전력거래소에 자발적으로 판매하고, 감축 후 이에 따른 수익을 받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3대를 가동하는데 1시간 전력 사용량이 월 100kW인데, 이를 자발적 DR을 통해 매일 1시간씩 줄였다면, 월 450만 원의 정산을 받을 수 있습니다.
(100kW * 3대 * 1시간 * 45,000원/kw = 월 450만원)
우리 공장 전기세, 어떻게 줄이고 계세요?
공장장닷컴에서 우리 공장 전기 사용량 실시간으로 확인하시고, 전기 사용량을 절약해 보시길 바랍니다!
지금 공장장닷컴에 가입하시면, 실시간 전기요금 관리가 무료!